라벨이 딥페이크인 게시물 표시

추석 때 아이돌봄서비스 정상 운영…평일요금 적용_[이용요금]

이미지
  추석 때 아이돌봄서비스 정상 운영…평일요금 적용   ‘딥페이크’ 피해 및 위기청소년 등 상담전화도 정상 운영  올해 추석 연휴 기간에 아이돌봄서비스 이용 시 휴일 가산요금이 아닌 평일 요금이 적용된다.  또한 ‘딥페이크’ 피해상담은 물론 가정폭력·성폭력 등 폭력피해자 및 위기청소년, 다문화가족 등을 위한 상담·보호 서비스도 정상 운영한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추석 연휴 기간에도 아이돌봄, 폭력피해 지원 등 민생 서비스는 정상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먼저 연휴 기간 동안 부모가 출근하는 가정의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아이돌봄서비스를 정상 운영한다.   아이돌봄서비스는 12세 이하 아동이 있는 가정에 찾아가 자녀를 돌봐주는 서비스로, 공휴일과 야간에 이용할 경우 요금의 50%가 가산되지만 추석 연휴기간에는 평일요금 시간당 1만 1630원을 적용한다.  다만 연휴 기간에는 서비스제공기관마다 아이돌보미 수급이 상이하므로, 서비스 이용 희망 가정에서는 반드시 사전에 서비스제공기관(☎ 1577-2514)에 문의 필요하다.   아울러 폭력피해자 보호·지원을 위해 여성긴급전화 1366(18곳)을 정상 운영한다.   이에 가정폭력, 성폭력 등으로 긴급 상담과 구조·보호가 필요한 폭력 피해자에게 24시간 신속하게 도움을 제공한다.    특히 이미지 합성 기술 ‘딥페이크’ 성적 허위영상물 등 디지털 성범죄 피해상담도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로 연계해 지원한다.  이와 함께 해바라기센터(32곳)와 연계해 성폭력·가정폭력·성매매 피해자에게 24시간 상담·의료·법률·수사 통합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가정 밖 청소년 보호·지원 시설인 청소년쉼터(137곳)와 청소년상담1388(전화·온라인)을 24시간 운영해 위기청소년에게 상담과 긴급 생활보호 서비스를 제공한다...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피해촬영물 삭제·수사 등.. 정부 ‘학교 딥페이크 대응 긴급 전담조직’ 구성…179건 수사 의뢰

 정부 ‘ 학교 딥페이크 대응 긴급 전담조직 ’ 구성 … 179 건 수사 의뢰 올해 1 월부터 8 월 27 일까지 196 건 신고 접수 … 사안 종료시까지 TF 운영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 피해촬영물 삭제 · 수사 등 종합서비스 제공   정부가 텔레그램 등 메신저를 이용한 허위합성물 ‘ 딥페이크 ’ 피해 우려가 확산됨에 따라 피해 현황 조사와   긴급 전담조직 (TF) 을 운영하는 등   신속   대응에 나섰다 . 교육부는 28 일 딥페이크 피해에 대해 학생 · 교원들의 불안감 해소와 보호를 위해 ‘ 학교 딥페이크 대응 긴급 전담조직 ’ 을 구성해 사안 종료시까지 운영한다고 밝혔다 .  아울러 딥페이크 성범죄로 인한 피해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 허위합성물의 편집 · 합성 · 가공 행위는 호기심 차원의 놀이가 아니라 법적 처벌의 대상이 된다는 점과 피해자 대처요령 등을 담은 안내문을 학교 현장에 긴급하게 배포했다 .  또한 여성가족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이미지 합성 기술 성범죄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피해 예방 및 피해자 지원방안에 대해 긴급 점검하고자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을 점검했다 .    딥페이크는 기존 사진영상을 다른 사진영상에 겹쳐서 만들어 내는 인공지능 기반의 이미지합성기술로 , ‘ 딥러닝 (Deep Learning)’ 과 가짜를 의미하는 ‘ 페이크 (Fake)’ 의 합성어다 .    ◆ 학교 딥페이크 대응 긴급 TF 17 개 시도교육청의 학생 · 교원 피해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1 월부터 8 월 27 일 현재까지 총 196 건 ( 학생 186 건 , 교원 10 건 ) 의 피해신고가 접수되었고 , 이 중 179 건은 수사당국에 수사를 의뢰했다 .  이에 교육부는 이번 사안의 심각성을 깊이 인식하고 , 실효성 있는 대응책을 마련하여 학교 현장이 안정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방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