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부동산 시장 흔들림인 게시물 표시

부동산 규제 강화, 서울 외곽까지? 실거래는 ‘거의 제로’

2025 년 초 , 부동산 시장에 다시 한 번 한파가 찾아왔습니다 .  정부의 강력한 규제 기조가 유지되면서 서울 중심지는 물론 외곽 지역까지 실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는 ‘ 거래 절벽 ’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특히 실수요자들이 주로 거주하는 강북권 · 도봉 · 노원 · 강서 등 서울 외곽지역의 거래량은 ‘ 제로 ’ 에 가까운 수준으로 줄어들며 지역 경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실거래 ‘ 거의 제로 ’, 시장은 멈췄다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2025 년 1 월 기준 강북구의 아파트 실거래 건수는 10 건 미만으로 , 전년 동월 대비 80% 가까이 줄어든 수치입니다 .  도봉구와 중랑구 , 은평구 역시 사정은 다르지 않습니다 .  심지어 일각에서는 한 달 동안 단 한 건의 매매도 이뤄지지 않은 단지도 속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이런 거래 절벽은 단순히 투자 심리가 위축된 것이 아니라 ,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와 세제 강화가 맞물리면서 나타난 복합적인 현상입니다 . 특히 1 주택자도 주택담보대출을 받기 어려워지면서 , 실수요자조차 집을 사기 부담스러운 시장이 되어버린 것입니다 . 규제 내용 요약 – 실수요자까지 얼어붙게 만든 정책들 대출 규제 강화 투기지역 ·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곳에서는 LTV( 주택담보인정비율 ) 를 최대 40% 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  9 억 원 초과 주택은 대출 자체가 막혀버리는 상황입니다 . 세금 중과 정책 다주택자에 대한 보유세 및 양도소득세 중과는 여전히 유지 중입니다 .  일시적 2 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비과세 요건도 강화되었죠 . 청약 조건 강화 무주택자 우선 공급 확대는 긍정적이나 , 당첨 이후 자금 조달 부담으로 실제 입주를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 이처럼 정책은 분명 시장 안정이라는 명분을 가지고 추진되었지만 , 실질적으로는 ‘ 거래를 아예 막아버리는 ’ 시장 마비 상태로 이어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 서울 외곽의 가격 변화 , 하락세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