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예보에서 말하는 ‘블로킹’이란? 한파·폭염의 결정적 요인
겨울이 되면 한파가, 여름이 되면 폭염이 기승을 부립니다. 이러한 극한 기후 현상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기상학에서 ‘블로킹(blocking)’이란 용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블로킹은 기후 패턴을 장기간 정체시키는 현상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특정 지역에서는 지속적인 한파나 폭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블로킹이 무엇인지, 블로킹이 발생하는 원리, 그리고 블로킹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겠습니다. 1. 블로킹이란? 블로킹(blocking)은 대기 중에 정체된 고기압 또는 저기압이 이동하지 않고 오래 머무르는 현상을 뜻합니다. 이러한 블로킹 현상이 발생하면 기압 배치가 변동 없이 고정되어 특정 지역의 기후가 장기간 지속됩니다. 예를 들어, 겨울철 블로킹이 발생하면 북극에서 내려오는 찬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한반도에 머물러 강력한 한파가 계속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여름철에는 고기압이 정체되면서 뜨거운 공기가 갇혀 폭염이 길어지는 원인이 됩니다. 2. 블로킹의 발생 원리 블로킹은 주로 제트기류(Jet Stream)와 관련이 있습니다. 제트기류는 대기의 상층에서 강하게 부는 바람인데, 이 바람이 평소보다 약해지거나 특정 구간에서 정체되면서 블로킹이 발생하게 됩니다. 블로킹 현상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대규모 고기압 정체: 고기압이 정체되면서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장기간 머뭅니다. 제트기류의 굴곡 변화: 기압의 흐름이 구부러지면서 대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됩니다. 해양과 대륙의 기온 차이: 특정 지역에서 해양과 대륙의 온도 차이가 커지면 기압 배치가 비정상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3. 블로킹이 한파와 폭염에 미치는 영향 1) 한파 겨울철 블로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