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5월 피는 꽃인 게시물 표시

꽃말로 만나는 작약꽃, 수줍음 속에 담긴 이야기|작약과 모란, 닮은 듯 다른 봄꽃의 매력 비교

  따사로운 햇살이 퍼지는 5월, 정원 한켠에서 조심스럽게 피어오르는 꽃이 있다.  바로 "작약(芍藥)"이다.  넓은 꽃잎을 풍성하게 펼쳐내며, 한 번 피면 보는 이의 마음을 단번에 사로잡는 이 봄꽃은 고운 자태만큼이나 그 이름과 꽃말에서도 깊은 정서를 머금고 있다.   특히 ‘수줍음’이라는 꽃말은 작약이 주는 이미지와 묘하게 잘 어울린다.   수줍음을 닮은 꽃, 작약 작약은 꽃망울이 피기 전엔 마치 속마음을 숨긴 듯 단단히 여문 모습이다.  하지만 꽃이 피기 시작하면 놀랍도록 화려하고 부드러운 꽃잎이 겹겹이 펼쳐지며 보는 이를 매혹시킨다.   이런 개화의 과정은 마치 처음엔 망설이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마음을 열고 온전히 자신을 드러내는 누군가의 모습과 닮아 있다.   그래서 작약의 꽃말이 ‘수줍음’, ‘부끄러움’, ‘수줍은 사랑’이라는 점은 그 형태와 생태, 그리고 감성까지 모두 잘 표현해준다.   닮은 듯 다른, 작약과 모란 작약을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꽃이 바로 ‘모란(牡丹)’이다.  두 꽃은 외형상 매우 닮아 헷갈리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몇 가지 중요한 차이가 있다.  먼저, 모란은 나무, 작약은 풀이라는 점이다.  모란은 줄기가 나무처럼 딱딱하며 해마다 같은 줄기에서 꽃을 피우지만, 작약은 땅속에서 겨울을 나고 이듬해 새순이 돋아나는 숙근초다.  즉, 작약은 겨울이면 땅 위의 줄기와 잎이 모두 사라지고 뿌리만 남는 반면, 모란은 줄기가 남아 목본 식물로서의 생태를 유지한다.  꽃 피는 시기도 약간 다르다.  보통 모란은 4월 중순부터, 작약은 5월 초~중순에 피기 시작한다.  모란이 왕의 품격과 권위를 상징하는 꽃이라면, 작약은 보다 부드럽고 여성적인 느낌을 강조한다.   실제로 전통 회화나 한복 문양에서도 모란은 당당한 위엄을, 작약은...